Spring 기본 시작 - 세팅부터 CRUD API 까지
·
개발 아카이브/JAVA
1. 자바 설치 (Java JDK 17 이상 설치)Java 8 (2014년 출시)여전히 많은 기업에서 레거시 시스템으로 사용 중람다 표현식, Stream API 등 중요한 기능이 도입된 버전장기적으로는 점차 마이그레이션하는 추세Java 11 (2018년 출시)현재 가장 널리 채택되고 있는 LTS(Long Term Support) 버전Oracle의 상업적 지원이 필요 없는 OpenJDK 기반으로 무료 사용 가능많은 새로운 프로젝트들이 Java 11을 기준으로 개발Java 17 (2021년 출시)최신 LTS 버전으로 채택률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음Spring Boot 3.0+ 등 주요 프레임워크들이 Java 17을 최소 요구사항으로 설정https://wooncloud.tistory.com/160 Java 17..
[Spring] @Autowired를 지혜롭게 하는 법.
·
개발 아카이브/JAVA
이 포스팅은 인프런의 김영한 님의 "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강의를 보다가 좋은 내용인 것 같아서 참고하여 포스팅했습니다. Autowired 하는 방법은 아마 대략적으로 3가지가 있을 것입니다. 그냥 멤버 필드에 @Autowired 하는 방법 생성자에 @Autowired 하는 방법 Setter에 @Autowired 하는 방법 이 3가지 방법 중, 어떤 방법이 좋은 방법일지, 이번 포스트로 다루어 보겠습니다. 시나리오 package com.min.edu.controller; import com.min.edu.service.MemberService;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Controller; @Controller..
[Spring] 스케줄러 Cron 사용하기
·
개발 아카이브/JAVA
스프링 프로젝트를 개발하면서 시스템이 커지고 DB 또는 다양한 서비스를 위해 어떤 모듈들을 주기적으로 실행해야 할 때가 옵니다. 그럴 때 사용하는 것이 스케줄러입니다. 스프링에서 스케줄러 사용방법은 쉽습니다. servlet-context.xml에서 task namespace를 추가하고 bean을 참조하여 cron 표현식으로 언제 주기적으로 등록한 메서드를 실행할지 선언만 해주면 됩니다. 스프링 프로젝트를 구축하고 간단하게 따라해 봅시다. 1. servlet-context.xml에 scheduled-tasks 추가 servlet-context.xml에 namespace에서 task를 추가합니다. 그럼